티스토리 뷰
2024년에 새롭게 등장하는 교통카드인 기후동행카드는 단 1회 충전으로 버스, 지하철, 따릉이(공용 자전거)를 횟수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통합 정기권입니다.
아래에서 단 하나의 카드로 단 1회 충전으로 30일 동안 모든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과 신청기간, 사용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세요.
★ 목 차 ★
신청방법
기후동행카드는 24년 1월 27일에 출시 및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신청 없이 모바일카드 및 실물카드를 구매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1월 23일(화)부터 구매 가능합니다.
모바일카드
모바일카드를 발급받기 위해 가장 먼저 "모바일 티머니" 어플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어플 설치 후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카드"발급 및 충전할 수 있습니다.
※ 결제 수단 : 계좌이체 (향후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결제로 확대 예정)
실물카드
실물카드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물카드 판매처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과 역사 인근 편의점입니다. 편의점 판매처 목록 및 위치는 1월 중 서울시 홈페이지에 별도 게시한다고 하니, 곧 서울시 홈페이지(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결제 수단 : 현금결제(실물카드는 3,000원으로 별도 구매(현금) 필요하나, 최초 구매 후 매달 충전 가능)
※ 실물카드 이용자는 반드시 '티머니 카드 & 페이' 홈페이지에 카드 등록 필요 (1인 1 카드 원칙)
→ 실물카드 구매 후 등록하지 않으면 환불 및 따릉이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 서울교통공사(1~8호선),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 위치한 무인충전기로 충전 가능합니다.
카드 종류 및 가격과 혜택
카드 종류는 모바일카드(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와 실물카드(ios 기반 스마트폰 사용자 및 디지털 약자) 두 가지가 있습니다.
서울 지역의 지하철과 버스만 이용할 경우 62,000원권을, 따릉이까지 이용할 경우 65,000원권을 구매 및 충전하면 됩니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월 62,000원이나 65,000원 내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고, 연간 약 34만 원 이상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여 혜택도 받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일에 동참하세요.
카드 사용방법
사용 개시일로부터 30일간 사용 가능합니다.
모바일 카드는 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며, '모바일 티머니' 앱을 통해 이용요금을 계좌이체하고 5일 이내 사용일을 지정 후 사용하면 됩니다.
버스와 지하철
지하철이나 버스를 이용할 경우, 승차 및 하차할 때 카드(모바일, 실물)를 태그 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 버스나 지하철에서 내릴 때 깜빡하고 태그하지 않으면 2회 누적 시 직전 승차 시간 기준 24시간 사용 정지
따릉이
따릉이까지 이용하기 위해 65,000원권을 구매(충전)한 이용자가 따릉이를 사용하려면, '티머니 GO' 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 번호를 등록해야 하며, 등록 후 사용기한 내 따릉이를 1시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안드로이드와 iso 버전의 '티머니 G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환불은 사용기간이 끝나기 전(개시일로부터 30일 이내) 사용잔액을 원할 경우 환불이 가능하며, 환불금액은 카드 충전금에서 대중교통 실 사용금액과 환불 수수료 500원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주요 내용
1. 사업기간 : 2024년 1월 27일(토) ~ 6월 30일(일) 시범 운영
2. 이용범위 : 서울지역 지하철,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따릉이
3. 이용제외 : 신분당선, 서울시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버스
※ 지하철을 서울 내에서 탄 후 서울시 외 지역에서 내릴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안됩니다.
기후동행카드란?
2023년 9월 11일에 서울시에서 발표한 62,000원권(버스+지하철), 65,000원권(버스+지하철+따릉이) 통합 교통카드로 2024년 1월 27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교통카드에 왜 기후 동행이란 이름이 붙었는지는 이 교통카드를 출시하게 된 배경에서 알 수 있습니다. 이 교통카드는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따릉이 등)을 사용하도록 권장하여 환경오염을 줄이려는 취지에서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계획은 서울시로 제한되어 있고, 6월 30일까지 시범 운영하기로 되어 있으나, 인천시 및 경기도와의 협의를 통해 사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버스, 지하철, 따릉이 외 한강리버버스나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연간 약 34만 원의 혜택도 받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일에 동참하세요.